부업 & 재테크

리먼 브라더스 사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완벽 간단 정리!

수유니신 2023. 5. 7. 16:20
반응형

리먼 브라더스 사태 or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지만 경제에 많은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아 그냥 글로벌 위기 정도로만 생각하는 것 같아서 어려운 말보다는 간단하게 이해를 돕고자 본 글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만 브라더스 혹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리먼 브라더스 or 서브프라임 모기지?

2008년 일어난 글로벌 금융위기를 리만 브라더스 혹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라고도 부르는데, 리만 브라더스 사태라고 불리는 이유는 미국의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 파산으로, 파산 보호를 신청할 당시 자산 규모가 6390억 달러 한화로 847조 9530억 원이다. 당시 세계 20위권 나라의 총  GDP와 맞먹었으니 그 파산의 여파가 얼마나 컸을지 상상도 되지 않아요.

 

리먼 브라더스 자산액

 

자 그럼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무슨 뜻일까요? 영어로 보자면 서브프라임은 Subprime으로 신용도가 높지 않은 대출자에게 모기지(Mortgage) 주택담보 대출을 해주었다는 이야기에요. 그럼 대충 이게 무슨 사건인지 예상이 가시죠? 주택담보 대출을 무슨 이유에선지 신용도가 높은사람은 물론이고 높지 않은 사람한테까지 다~~해주다가 파산을 했다 정도로 말이죠. 

 

부동산 버블

공학도여서 그런지 몰라도 경제는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도 이해가 가능할 정도로 쉽게 설명해볼게요. 배경은 엄청 복잡한 것들이 있기 때문에 아래의 저의 간단한 설명이 그 시대의 상황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겠지만 최대한 간단히 요점만 이해를 돕기 위해 쓴 것이니 감안하고 봐주세요. 

 

2008년 전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도 보셨다 시피 90년대 후반 닷컴버블의 붕괴나 그 이후 아프간/이라크 전쟁 이후, 미국은 1) 저금리 정책을 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서 부동산을 사기 시작합니다. 수요와 공급의 조건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니 2) 아파트 가격은 계속상승하겠죠.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시장이 좋으니 3) 은행은 대출을 쉽게 해줍니다. 그 이유는? 아파트를 담보로 잡고 있기 때문에 못갚으면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아파트를 팔면 되니까! 그래서 서브프라임 즉 신용도가 높지 않은 사람에게도 대출을 해주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은행은 아 이 좋은 시장에서 돈을 더 벌고 싶습니다. 왜냐면, 예를 들어 고객에게는 주택담보대출로 10억을 바로 빌려주는데, 은행의 입장에서는 30년 상환이라면 이걸 저금리의 이자를 바탕으로 30년 동안 조금씩 조금씩 돈을 받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머리를 돌립니다. 이걸 4) 증권형식으로 묶어서 팔아서 원금을 받고 이자를 재지급하는 방식이죠. 그리고 또 그 원금으로 주택담보대출을 해주는 그런 방식입니다. 

 

이것과 연계해서 여러가지 상품들이 생기는데 Risk를 완화해주는 또 보험상품이 생겨나죠. 보험금을 내면서 나중에 증권에 대한 Risk가 발생했을 때 보상해주는 방식으로요. 

 

그 이후 부동산 가격이 너무 오르니, 이제 정부에서는 5) 금리를 서서히 올리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올려도 집값은 잡히지가 않죠. 5프로가 넘어서야 서서히 잡히기 시작합니다. 5프로의 이자? 이제 사람들이 6) 5프로의 이자를 못갚기 시작하죠. 그럼 어떻게 될까요? 집값은 떨어지고 이자를 못내는 사람들은 생겨나고. 7) 아!! 나 어차피 집값도 계속 떨어지는데 이자 못내겠어. 그냥 내 집 갖다 팔아. 이게 핵심입니다. 

 

보험사들은 이미 엄청난 보험금을 지급하고 파산하게 되어버리고, 대출을 해간 사람은 대출을 못갚고 담보의 가격도 떨어져버리고 이런 것들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버리는 겁니다. 무섭죠... 

 

부동산 사진

 

자 어떠세요? 이해가 조금 되셨나요? 부족한 부분이 많겠지만 조금이나마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고 지금 상황에서도 과거의 사례를 한번씩 되짚어보면서 좋은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